Super Kawaii Cute Cat Kaoani
728x90
SMALL

Python/Python Study 15

파이썬 추가적인 개념 - 1

클래스, 모듈, 패키지, 예외 처리, 내장/외장 함수에 대해 공부한다. 클래스 -> 반복되는 변수 & 메소드(함수)를 미리 정해높은 틀(설계도) 클래스가 왜 필요한가? 두개의 계산을 각각 하고 싶을 때! 이런식으로 함수를 여러번쓰면 굉장히 귀찮다. 똑같은 기능을 여러번써야하잖아. 그래서 클래스를 사용한다. 클래스라는 것을 만들고 그 클래스를 이용해서 똑같이 생긴거는 여러개 instance라고 찍어낼 것이다. 클래스는 함수랑 변수가 똑같은 구조를 계속 여러번 써야하니까 그냥 하나로 묶어서 설계도로 만들어보자. 클래스는 class Calculator: 처럼 맨 앞을 대문자로 쓰는 것이 정석이다. add라는 것을 클래스를 이용해서 한번만 정의를 해놓으면 이걸 계속 찍어낼 수 있다. -> __init__은 처음..

Python/Python Study 2021.01.09

파이썬 입출력

함수 파이썬 함수의 구조 def 함수명(매개 변수): 수행할문장... return 리턴 값 함수를 사용하지 않고 그냥 정의만 할 수도 있다. (입력값이나 출력값이 없을 수 있다.) 함수를 사용하는 것을 '함수 호출'이라고 한다. 또는 결과값이 없을 수도 있다. 리턴값이 없으면 None으로 출력된다!! 입력값도 결과값도 없는 함수 def say(): print('Hi') print(say()) 여러 개의 입력값 어떤 값이 다 들어와도 이 값들을 다 더해주고 싶다하면 *args를 사용한다!!@@ 키워드 파라미터 딕셔너리 형태로 여러개의 값이 들어온 것을 처리할 수 있는 매개변수이다. 함수 함수의 결과값은 언제나 하나이다. 여러 개의 값을 한번에 리턴하고 그걸 튜플 형태로 받아서 나눠 쓰면 된다. print(..

Python/Python Study 2021.01.09

파이썬 제어문

조건문과 반복문 크게 2가지로 나뉜다. 조건문 money = True if money: print("택시를 타고 가라") else: print("걸어 가라") -> 들여쓰기가 중요하다! -> if 뒤에 식은 불 자료형이된다. 파이썬 자료형-2에 있는 자료형의 참과 거짓 표를 활용하여 불 자료형을 사용. 비교 연산자 -> , == , != , >= , 둘다 True 여야 한다. - or( | ) -> 둘중에 하나만 True 이면 된다 - not - if x in s : x에는 찾고자하는 값, s에는 리스트나 튜플같이 자료가 여러개 있는 것 - if x not in s - 조건문에서 아무 일도 하지 않게 설정하고 싶을 때 (pass) - 다중 조건 판단 elif (=else if) 조건부 표현식 ..

Python/Python Study 2020.12.28

파이썬 자료형-2

리스트와 튜플은 거의 비슷하게 생겼다. 리스트 : a = [1,2,3] -> 리스트는 대괄호 튜플 : b = (1,2,3) -> 튜플은 소괄호 리스트는 appand()해서 계속 추가할 수 있었다. 하지만 튜플은 고정되어 있다. 1. 소괄호를 사용 2. 변경 불가능 (길이와 값이 고정되어 있음.) @@@ 중요!! @@@ 튜플 변하면 안되는 값을 쓸 때 튜플을 사용한다. 추가, 삭제, 변경은 지원하지 않지만 인덱싱과 슬라이싱 기능은 지원한다. 더하기, 곱하기도 가능. (3,) 괄호와 ,가 꼭 있어야 한다. 딕셔너리 루비에서는 Hash로, 자바에서는 Map, 자바스크립트에서는 Object, JSON 형식이 딕셔너리 형태이다. (연관 배열(Associative array) 또는 해시(Hash)라고도 부름.) 리..

Python/Python Study 2020.12.27

파이썬 자료형-1

파이썬 자료형: 숫자, 문자열, 불, 변수,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집합 자료에 대한 타입 : 숫자, 문자열, 불 어떤 값을 담는 자료구조 : 변수,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집합 (불(bool)은 참, 거짓을 나타내는 자료형.) 변수란? 어떤 값을 담는 상자이다. 예를 들어 a = a+1 은 오른쪽에 있는 값을 왼쪽 상자(변수)에 넣는다. 라는 의미이다. 숫자형 숫자형: 정수형(1, 2, -2 등) - int, %d 실수(1.24, -34.56 등) - float, %f 컴퓨터식 지수 표현 방식(4.24e10, 4.24e-10) - float 8진수 (0o37) 16진수 (0x7A) 출력 결과는 물론 1이 된다. 근데 여기서 a라는 변수의 자료형이 궁금할 수 있다. 그럴때는 print(type(a..

Python/Python Study 2020.12.27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