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자료형: 숫자, 문자열, 불, 변수,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집합
자료에 대한 타입 : 숫자, 문자열, 불
어떤 값을 담는 자료구조 : 변수,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집합
(불(bool)은 참, 거짓을 나타내는 자료형.)
변수란?
어떤 값을 담는 상자이다.
예를 들어
a = a+1 은 오른쪽에 있는 값을 왼쪽 상자(변수)에 넣는다. 라는 의미이다.
숫자형
숫자형: 정수형(1, 2, -2 등) - int, %d
실수(1.24, -34.56 등) - float, %f
컴퓨터식 지수 표현 방식(4.24e10, 4.24e-10) - float
8진수 (0o37)
16진수 (0x7A)
출력 결과는 물론 1이 된다. 근데 여기서 a라는 변수의 자료형이 궁금할 수 있다. 그럴때는
print(type(a))라고 해서 실행시키면 된다. <class 'int'> 라는 출력 결과를 얻게 된다.
사칙연산도 가능하다.
+(더하기), *(곱하기), /(나누기), %(나머지), **(제곱수)
+ 나누기의 경우, / 했을 때는 나누기 연산이 수행되고
// 했을 때는 몫이 나온다.
문자열 자료형
4가지 방법 - str(문자열 자료형)
1. "Hello World" - 큰 따옴표 -> 문장안에 '이 들어가 있는 경우에는 큰 따옴표로 묶어줌 (예를들어 길동's 같은 경우.)
2. 'Python is fun' - 작은 따옴표
3.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 큰 따옴표 3개 -> 막 적어도 탭이랑 간격을 다 인식함. \n이 필요x.
4.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 작은 따옴표 3개
+ \' 하면 그냥 작은 따옴표해도 인식함.
+ 줄을 바꾸고 싶은 곳에 \n을 사용한다.
+ 문자열 더하기, 곱하기도 가능!
인덱싱(indexing)
파이썬은 0부터 시작한다.
긴 문자열이 있으면 각 문자마다 번호가 매겨진다.
-1하면 뒤에 첫글자라는 뜻. -는 역방향이다.
슬라이싱(Slicing)
하면 출력결과는 Life가 된다. 여기서 4는 Life 뒤의 공백을 가리킴!
그래서 예를들어, s == s[ : :-1] 의 뜻은 기러기, 토마토처럼 역순으로 읽어도 같은 말을 찾는다는 것이다.
+추가적인 예시
+추가적인 예시 1
=> %d는 정수
%f는 실수
%s는 문자열 => 이거쓰면 다쓸수있음 사기캐.
%c는 문자 1개
+추가적인 예시 2
{} 대괄호 사이에 변수 이름을 줄수도 있다.
+추가적인 예시 3
+추가적인 예시 4
- 문자열 개수 세기 (count)
- 문자열에서 문자 위치 알려주기 (find) : 없으면 -1이 리턴됨 + (index도 가능!)
- 문자열 삽입 (join) : 변수에 넣은 거 기준으로 문자열을 삽입
- 대문자로 변환 (upper)
- 소문자로 변환 (lower)
- 공백을 없애줌 (strip)
- 문자열 바꾸기 (replace)
- 문자열 나누기 (split)
- 문자열 교체 (replace) -> replace("a", "b") : a를 b로 교체한다.
- 문자열 나누기 (split) -> 띄어쓰기를 기준으로 잘라서 리스트로 만든다.
만약 split(":") 이면 :를 기준으로 문자열을 자름.
리스트
리스트는? 변수 여러 개를 묶는 역할을 한다. 즉, 하나의 변수에 여러 개의 값을 관리할 때 사용한다.
(변수가 다 따로 있으면 관리하기 힘드니까 ㅎㅎ)
리스트 형태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apple을 출력하고 싶으면 print(a[1])을 하면 된다.
+ 리스트안에 리스트를 또 넣을 수도 있다.
리스트의 슬라이싱
+ 리스트 역시 더하기, 곱하기가 가능하다.
+ 리스트 내용을 수정(교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 리스트 내용 삭제 (1. 빈 리스트로 교체, []) (2. del 함수 사용, del a[1])
- 리스트에 요소 추가 (append) -> 맨 뒤에 추가
- 리스트 정렬 (sort()) -> 가나다 순, 오름차순으로 정렬됨
- 리스트 뒤집기 (reverse)
- 위치 반환 (index)
- 리스트에 요소 삽입 (insert) -> 특정 인덱스에 추가 가능 -> insert(0, 4) : 0번째 인덱스에 4를 추가해라
- 리스트 요소 제거 (remove) -> 인덱스가 아닌 지우고자 하는 값을 입력!!@@
여러개 있으면 가장 앞에 있는 숫자 하나만 지워짐.
다 없애려면 for문 같은 걸 사용!
- 리스트 요소 끄집어내기 (pop) -> 마지막걸 끄집어냄
- 리스트에 포함된 요소 x의 개수 세기 (count)
- 리스트 확장 (extend) -> append와 유사
'Python > Python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추가적인 개념 - 2 (1) | 2021.01.14 |
---|---|
파이썬 추가적인 개념 - 1 (0) | 2021.01.09 |
파이썬 입출력 (0) | 2021.01.09 |
파이썬 제어문 (0) | 2020.12.28 |
파이썬 자료형-2 (0) | 2020.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