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자료 : https://www.anthropic.com/news/model-context-protocol
해당 글은 앤트로픽의 블로그를 참고하였습니다.
앤트로픽에서 저장소, 비즈니스 도구, 개발 환경 등과 같은 데이터가 있는 시스템에 AI 비서를 연결하기 위한 새로운 표준인 'MCP(Model Context Protocol)'을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MCP의 목적은 프론티어 모델이 더 나은, 관련성 있는 응답을 생성하도록 돕는 것이다.
새로운 데이터 소스가 왔을 때 사용자가 커스텀 개발하는 것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진정한 커넥티드 시스템을 확장하기가 어렵다.
-> 이를 MCP로 해결할 수 있다.
AI 시스템을 데이터 소스와 연결하기 위한 보편적인 개방형 표준을 제공하여 단일 프로토콜로 대체한다.
그러면 AI 시스템이 필요한 데이터에 엑세스할 수 있는 더 간단하고 안정적인 방법이 된다.
<MCP, Model Context Protocol,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
개발자가 데이터 소스와 AI 기반 도구 간에 안전한 양방향 연결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개방형 표준이다.
개발자는 MCP 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노출하거나 이러한 서버에 연결하는 AI 애플리케이션 (MCP 클라이언트)를 구축할 수 있다.
<MCP의 3가지 구성요소>
1.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 사양 및 SDK
2. Claude Desktop 앱에서 로컬 MCP 서버 지원
3. MCP 서버의 오픈 소스 레파지토리
각 데이터 소스에 대해 별도의 커넥터를 유지 관리하는 대신 개발자는 이제 표준 프로토콜에 대해 빌드할 수 있습니다. 생태계가 성숙해짐에 따라 AI 시스템은 서로 다른 도구와 데이터 세트 사이를 이동할 때 컨텍스트를 유지하여 오늘날의 단편화된 통합을 보다 지속 가능한 아키텍처로 대체할 것입니다.
<MCP 시작하기>
1. Claude Desktop app을 통해 사전 구축된 MCP 서버 설치
링크 : https://claude.ai/download
Download Claude
Download Claude for your desktop or mobile device.
claude.ai
2. 빠른 시작 가이드에 따라 첫 번째 MCP 서버를 구축
링크 : https://modelcontextprotocol.io/quickstart
Quickstart - Model Context Protocol
While this guide focuses on using Claude Desktop as an example MCP host, the protocol is open and can be integrated by any application. IDEs, AI tools, and other software can all use MCP to connect to local integrations in a standardized way.
modelcontextprotocol.io
3. Contribute to our open-source repositories of connectors and implementations
링크 : https://github.com/modelcontextprotocol
Model Context Protocol
An open protocol that enables seamless integration between LLM applications and external data sources and tools. - Model Context Protocol
github.com
여기부터는 내 입맛대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참고해주세요~!
옹 일단 MCP는 굉장히 신박한 개념임ㅇㅇ
이거 가장왼쪽이 LLM, 중간에 MCP 서버가 있음.
이 LLM하고 MCP 서버가 MCP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통신을 하게 됨. (어떤 형식으로 데이터를 주고받겠다라고 정의해둔 것.)
그리고
SQLite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이 MCP 서버랑 통신을 하게 된다.
그래서 LLM(Claude Desktop)이 SQLite에다가 데이터를 쓰고 읽을 수 있게되는 것.
여러가지 도구와 데이터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규칙을 만들어놓은게 MCP라고 보면 된다.
그래서 이 MCP 서버들을 Claude Desktop에 설치를 해주면 사용할 수 있음.
=> 와써보니까 엄청 좋은거같다!
hello.txt 파일에 내용을 랜덤으로 작성해줘. 하면 내 컴퓨터 안에 hello.txt 내용 작성되서 파일 생긴다! 프롬프트로 컨트롤이 가능!
'NLP > LLM'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inforcement Learning] GRPO (Group Relative Policy Optimization) (0) | 2025.02.03 |
---|---|
[LLM] 테스트케이스 작성 (1) | 2024.07.02 |